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빅스텝이란? 빅스텝 뜻, 빅스텝 시행 이유, 미국 기준금리가 한국에 미치는 영향

by >>^^<< 2022. 7. 16.

빅스텝-섬네일-사진
빅스텝이란

요즘 물가가 무섭게 치솟고 있습니다. 최근 13일 한국은행 금융통화위원회(금통위)에서 기준금리를 0.5% 올린 '빅 스텝' 금리 인상을 시행하겠다고 발표했는데요. 이는 1999년 기준금리 도입 이후 사상 처음으로, 그만큼 국내를 포함한 국제 경제가 심상치 않게 흘러가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오늘은 이 빅 스텝의 뜻, 빅 스텝을 시행하는 이유에 대해 말씀드리겠습니다.

 

※ 빅 스텝 뜻, 그 외 금리 용어

기본적으로 '스텝' 금리가 인상하거나 인하하는 변동폭을 말합니다. 스텝 앞에 어떤 단어가 붙느냐에 따라 금리의 변동 폭이 달라집니다.

  • 마이크로 스텝 = 기준금리를 한 번에 0.1~0.15% 포인트 인상, 인하하는 것을 말합니다.
  • 베이비 스텝 = 기준금리를 한 번에 0.25% 포인트 인상, 인하하는 것을 말합니다. 기준금리는 기본적으로 0.25% 씩 올리거나 내리는 것이 일반적입니다.
  • 빅 스텝 = 기준금리를 한 번에 0.5% 포인트 인상, 인하하는 것을 말합니다. 지금과 같이 물가 상승률이 심상치 않을 때 시행합니다.
  • 자이언트 스텝 = 기준금리를 한 번에 0.75% 포인트 인상, 인하하는 것을 말합니다. 물가 상승률이 살인적으로 높을 때 시행합니다.
  • 울트라 빅 스텝 = 기준금리를 한 번에 1.0% 포인트 인상, 인하하는 것을 말합니다.
  • 점보 스텝 = 기준 금리를 연속으로 두 차례 이상 0.5% 포인트씩 인상, 인하하는 것을 말합니다.

한국은행은 4월과 5월 금리를 0.25% 씩 올린 베이비 스텝을 시행한데 이어 3회 연속 금리를 인상한 것은 사상 처음이라고 합니다.

 

빅 스텝 시행 이유

빅 스텝을 시행한 이유는 첫 번째로 경제에 타격을 주지 않으면서 치솟는 물가를 잡기 위함입니다. 지난 6월의 소비자물가지수(CPI)는 1년 전보다 6%나 올라 6.8%였던 1998년 이후, 가장 높은 상승률을 기록했습니다. 우선 금리와 물가 상승률의 관계에 대해 알아두실 필요가 있습니다. 만약 시장에 유동성 현금이 많이 풀려있어 화폐의 가치가 떨어지게 되면 물가는 상승합니다. 물가가 상승하게 되면 국민들이 경제적으로 어려움을 겪을 수 있기 때문에 금리를 다시 높여 시장에 많이 풀려있는 유동성 현금들을 은행으로 불러올 수 있게 합니다. 이런 식으로 사람들이 은행에 저축하는 방향으로 흘러간다면 은행에 돈이 다시 모이면서 시장에는 현금이 잘 안 돌게 되어, 물가는 다시 떨어지게 되는 것입니다.
두 번째는 한국의 기준금리가 미국의 기준금리에 역전될 가능성이 높아졌기 때문입니다. 미국은 지난 6월 1994년 이후 처음으로 금리를 0.75% 포인트 올린 '자이언트 스텝' 인상을 하겠다고 발표했는데요. 현재 미국(1.75%)은 한국(2.25%)과 거의 비슷한 수준으로까지 금리가 올라왔습니다. 한국의 기준금리가 미국의 기준금리에 역전되면 발생할 수 있는 일은 밑에 내용을 통해 말씀드리겠습니다.

 

※ '한국의 기준금리'가 '미국의 기준금리'에 역전되면 발생할 수 있는 일

한국은 여전히 미국보다 기준금리가 높지만 미국은 현재도 큰 폭으로 금리를 올리고 있는 상황이기 때문에 역전될 수 있는 가능성이 충분합니다. 만약에 한국 금리가 미국 금리에 역전되는 상황이 벌어지게 된다면 기존의 한국에 투자하던 외국인들이 미국이 한국보다 금리가 높아진 것을 알고 더 이상 한국에 투자 매력이  없다고 판단하여 그들이 가지고 있던 자본들은 금리가 높아진 미국이나 다른 나라로 이동하게 될 것입니다. 이렇게 해외 자본들이 유출되면 원화 가치가 떨어지게 되고 수입 물가가 상승하게 되어 국내 물가 또한 큰 폭으로 오르게 될 것이라고 봅니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