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안녕하세요 오늘은 경찰 계급표와 계급별 월급, 봉급, 계급별 인원, 계급별 정년에 대해 알려드리겠습니다.
※ 경찰 계급 구성은?
- 비간부급 = 순경, 경장, 경사
- 간부급 = 경위, 경감, 경정, 총경 / 경무관, 치안감, 치안정감, 치안총감
경찰 계급은 총 11개의 계급으로 구성되어 있고 비간부급 3계급과 간부급 8계급으로 나뉩니다.
◆ 순경, 경장, 경사

- 순경 = 공무원 9급 / 지구대, 경찰서, 기동대에서 치안 실무자 업무 수행
- 경장 = 공무원 8급 / 지구대, 경찰서, 기동대에서 치안 실무자 업무 수행
- 경사 = 공무원 7급 / 지구대, 경찰서, 기동대에서 팀장이나 반장급 업무 수행
비간부급인 순경, 경장, 경사 계급은 일선 지구대와 경찰서, 기동대에서 주로 치안 실무 업무를 맡고 있다고 합니다. ‘무궁화 봉오리 1개’는 의무경찰을 뜻합니다.
◆ 경위, 경감, 경정, 총경

- 경위 = 공무원 6급(을) / 지구대 순찰팀장, 지구대 파출소장, 경찰서 계장급
- 경감 = 공무원 6급(갑) / 지구대장, 경찰서 주요 계장
- 경정 = 공무원 5급 / 경찰서 과장, 경찰청과 지방청 계장급
- 총경 = 공무원 4급 / 경찰서장, 경찰청과 지방청 과장급
경위부터 간부급으로 승급됩니다. 계급 문양에서 볼 수 있듯이 가운데 태극장을 감싸고 있는 일반 무궁화는 조직 내에서 중추적인 위치에 있다는 것을 의미하며 ‘중견 경찰 간부’의 역할을 맡고 있습니다.
경찰대학을 졸업한다면 경위부터 보직이 시작되고 경찰간부시험을 통과한다면 경위로 승급할 수 있습니다.
◆ 경무관, 치안감, 치안정감, 치안총감

- 경무관 = 공무원 3급 / 지방청 차장, 지방청 부장, 경찰청 심의관, 경찰 수사 연수원장 정년 6년
- 치안감 = 공무원 2급 / 지방경찰청장, 경찰 교육원장, 중앙경찰학교장, 경찰청 국장 정년 4년
- 치안정감 = 공무원 1급 / 경찰청 차장, 지방경찰청장, 경찰대학장
- 치안총감 = 차관 / 경찰청창, 해양경찰청창
중앙의 ‘태극장’을 감싸고 있는 ‘5개의 태극 무궁화’는 5각으로 배치되어 경찰이 지향하는 다섯 가지의 가치 개념을 담고 있고 ‘경찰의 최상위 계급’을 표현합니다.
※ 경찰 계급별 월급 ( 봉급 )
》2022년 기준

※ 경찰 계급별 인원, 인력 구성
》2020년 말 기준
총계 | 순경 | 경장 | 경사 | 경위 | 경감 |
126,227 | 39,654 | 32,160 | 25,742 | 15,631 | 9,596 |
경정 | 총경 | 경무관 | 치안감 | 치안정감 | 치안총감 |
2,794 | 551 | 65 | 27 | 6 | 1 |
※ 경찰 계급별 정년
경찰의 정년은 '연령정년'과 '계급정년'으로 나뉩니다.
연령정년 = 60세까지
모든 계급에 모두 동일하게 적용됩니다. 어떠한 계급에 있던 60세까지 근무할 수 있다는 뜻입니다.
계급정년 = 경정 14년, 총경 11년, 경무관 6년, 치안감 4년
계급정년은 '경정, 총경, 경무관, 치안감' 계급에서만 적용되며 계급정년 내에 진급하지 못하면 연령정년에 관계없이 퇴직해야 합니다.
댓글